Window2008_R2 IIS & DNS
by 현생사는갓생지망생IIS 및 DNS
IIS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이다.
DNS란?
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먼저, IIS역할 추가를 해준다.
역할 서비스 기능은
HTTP 리디렉션, 기본인증, window인증, IP 및 도메인 제한 사항, 동적 컨텐츠 압축 , 관리서비스, FTP를 체크해주고 설치한다.
아직 아무런 설정도 하지 않았지만,
설치만 해도 IIS가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창에 내 IP를 쳐보면 이러한 창이 나온다.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렉토리 하나가 필요하다.
C드라이브 밑에 디렉토리 하나를 만들고
잘 동작하는지 쉽게 확인해보기 위해 HTML파일 하나를 만들어 넣어본다.
구성 > 폴더 옵션 >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 체크 해제!
이 과정을 하지 않으면 babo.html.txt 라는 파일이 생기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편집을 해주기 위해 메모장으로 열어주고,
확인만 하는 용도이므로 간단하게 작성해준다.
IIS의 설정은 시작 > 관리 도구 > IIS관리자 에서 가능하다.
사이트를 보면 Default Web Site가 이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기본 생성된 사이트는 공격에 굉장히 취약하니 웬만하면 삭제해주도록 한다.
사이트 > 우클릭 > 웹 사이트 추가
사이트 이름은 아무거나 해줘도 되지만, 보통 C드라이브의 폴더 이름과 맞춰준다.
경로는 C드라이브에 만들었던 폴더로 지정해준다.
분명 웹사이트를 추가했는데
Window7의 웹 브라우저에서 Window2008의 IP를 쳐보면 403에러가 뜬다.
이는 서버측 오류를 뜻한다.
서버측에서 내가 만들었던 babo.html 파일을 몰라서 생기는 오류인데
기본문서에 babo.html를 추가해주면 된다.
그리고 Window7 에서 다시 쳐보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엔 www폴더 안에 디렉토리를 몇개 더 생성해보자.
가상 디렉터리 추가 > 별칭을 적어주고 > 경로는 실제 내가 만들었던 www 안의 1로 해본다.
[Window2008 IP]/[가상디렉토리 별칭] 을 적어주면
내가 지정한 디렉토리안의 파일이 보인다.
주소창에 주소가 그대로 다 뜨면 보안상 취약하므로 가상 디렉토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blog라는 웹 사이트를 하나 더 추가해보면
이번에는 서비스가 잘 안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일한 IP에 동일한 포트를 사용하는 웹사이트는 추가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호스트' 라는 것을 이용한다.
DNS 기능이 필요하므로 역할 추가!
정방향 조회 영역 > 새 영역
주 영역으로 만든다.
DNS에서 중요한 작업은 호스트 지정이다.
이렇게 추가를 해주면 babo.com 를 쳤을 때 1.0.0.1 로 가라는 뜻이다.
www.babo.com -> 1.0.0.1
내가 만들었던 www와 blog 웹 사이트를 호스트 추가 해준다.
현재 blog사이트가 중지 상태이므로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게 하려면
바인딩 편집을 해줘야 한다.
Window2008 에서 DNS설정을 했으므로
Window7의 DNS서버 IP를 1.0.0.1로 해주어야 7에서 제대로 찾아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Window7에서 DNS주소를 잘 받아오는지 확인을 해주려면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하여 1.0.0.1을 잘 바라보고 있는지 확인해준다.
'IT 기초 공부기록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7 계정 패스워드(암호) 재설정 (0) | 2018.09.28 |
---|---|
Window2008에 DHCP/IIS/DNS/FTP 역할 설정 (0) | 2018.09.21 |
Window2008_R2 DHCP 설정 (0) | 2018.09.21 |
DHCP_작동 원리 및 APIPA (0) | 2018.09.21 |
Window2008 공유 권한 설정 실습_(2) (0) | 2018.09.21 |
블로그의 정보
현생이네
현생사는갓생지망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