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적끄적 아무기록

FailOver Cluster로 DHCP 구성 및 FreeNAS 구성 실습

by 현생사는갓생지망생
반응형

FailOver Cluster

 

Storage

 

DAS(Direct Attached Storage)

 - IDE, SCSI, SATA

- 서버가 채널(SCSI 또는 Fiber Channel)을 통해 대용량 스토리지에 직접 연결

- 각 서버는 자신에게 할당된 각자의 파일 시스템 관리

- 서버에서 채널을 통해 스토리지에 직접 연결되므로 속도가 빠름

- 다른 서버에 할당된 스토리지 영역 접근이 불가하여 파일 공유 불가능

- 통합 스토리지에 연결되는 서버의 수 한계, 거리제한

- 설치가 용이하고 구축 비용이 저렴

 

NAS(Network-Attached Storage)

- NFS, CIFS

-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파일 수준의 컴퓨터 기억장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

-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고 구축이 저렴하기 때문에 소규모 파일 공유 환경에 적합

 

SAN(Storage Area Network)

- 파일 시스템 기능은 클라이언트측에 일임하고 블록 기반 저장장치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 소프트웨어가 별도로 필요하다.

- 특수한 카드(HBA)를 써야하고, 광케이블로 연결

- 속도는 빠르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2대의 Server가 DHCP Service를 제공하지만

Client는 한 대의 서버(DHCP Cluster)가 제공하는 듯이 인식하고 DHCP Server 한 대가 고장나도 계속 서비스가 가능하다.

 

FreeNAS >>

먼저 가상머신을 하나 설치한다.

운영체제는 Other의 [FreeBSD version 10 and earlier] 선택.

 

가상머신 메모리는 256MB정도만 할당해주어도 충분하다.

 

디스크 용량 2GB.

나머지는 기본 값으로 설치완료 해준다.

 

설치 후 실행시키면 이러한 console 선택 창이 뜬다.

먼저 9번을 입력하여 설치!!

완료되면 위의 창이 다시 뜨는데 하드 디스크를 추가해주기 위해 일단 8번으로 Shutdown해준다.

 

2GB짜리 SCSI 3개 추가해주고 다시 실행하여 2번 선택.

 

DHCP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FreeNAS IP는 1.0.0.6으로 설정.

 

서브넷은 24

 

게이트웨이는 1.0.0.254

 

DNS는 DC를 바라보게 할 것이므로 1.0.0.1 입력.

 

IPv6는 사용 안 함.

 

Server 1 >>

첫 번째 멤버 서버에서 1.0.0.6 (FreeNAS IP)를 입력하면 로그인 창이 뜬다.

admin / freenas 로 접속.

 

접속하면 이러한 창이 뜬다.

 

Disks > Management > +

 

추가로 장착한 SCSI 3개를 차례로 추가해줄 것이다.

da0 > 설명 : Quorum > 포맷방식 : ZFS storage pool device

da1 > 설명 : Cluster1 > 포맷방식 : ZFS storage pool device

da2 > 설명 : Cluster2 > 포맷방식 : ZFS storage pool device

 

추가 후엔 반드시 Apply changes 클릭해주어야 적용된다.

적용해주면 Status가 Online으로 바뀐다.

 

Disks > ZFS > Virtual device > +

 

위에서 포맷해줬던 순서대로 가상 디바이스를 추가해준다.

Name : quorum > da0

Name : cluster1 > da1

Name : cluster2 > da2

 

마찬가지로 설정 후엔 반드시 적용.

 

Disks > ZFS > Management > +

 

Name은 quo, clu1, clu2로 하고 그에 맞게 순서대로 Virtual device선택하여 Add.

(마운트 과정)

 

Apply changes 꼭 클릭해주기.

적용하면 용량이 다 올라와야 한다.

 

Services > iSCSI Target > Settings

우측 상단의 Enable 클릭. 쉽게 말하면 여기 와서 접속하세요 하는 구성을 만드는 것이다.

Base Name 은 iqn. 으로 시작해야 한다.

나머진 기본 값으로 하단의 save and restart 클릭.

 

Portals > +

 

기본 값으로 그냥 Add 후 적용.

 

Initiators > +

 

위와 마찬가지로 그냥 기본 값으로 Add 후 적용.

 

Targets >

Extent와 Target을 순서대로 추가해줄 것이다.

 

먼저 Extent 먼저 추가해보자.

Path : /mnt/quo/1 > File size : 1900MB

Path : /mnt/clu1/1 > File size : 1900MB

Path : /mnt/clu2/1 > File size : 1900MB

(위에 마운트할 때 지정해주었던 이름 경로)

 

그리고 Target은 기본으로 Add 해준 후 변경 사항을 적용해준다.

 

관리 도구 > iSCSI 초기자 > 속성 탭에서 FreeNAS IP인 1.0.0.6을 검색 후,

 

대상 탭을 보면 3개가 뜬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비활성 되어있으니 하단의 연결을 클릭.

 

 

그리고 볼륨 및 장치 탭에서 자동 구성을 클릭해주면 위의 사진처럼 볼륨 장치가 자동으로 구성된다.

 

위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디스크 관리로 들어간다.

내가 추가한 디스크 3개가 보이며 아직 오프라인 상태이므로 3개 모두 온라인 상태로 바꿔준다.

 

3개 모두 MBR방식으로 초기화해준다.

 

우클릭하여 새 단순 볼륨 생성.

 

파일 시스템은 NTFS, 볼륨 레이블은 위에 설정해주었던 장치 이름으로 설정하고

디스크 3개를 모두 포맷해준다.

 

포맷이 완료되면 디스크가 이런 식으로 바뀐다.

 

그럼 이러한 장치 3개가 추가된 것 볼 수 있으며

두 번째 멤버 서버는 따로 포맷해주지 않아도 설정을 다 가져온다.

 

만약 이동식 미디어 장치가 이런 식으로 되어있다면 꺼내주기.

 

DHCP를 FailOver Cluster로 구성해볼 것이다.

 

먼저 DHCP역할을 추가해준다.

구성할 필요는 없고 역할만 설치해주면 된다.

두 번째 멤버 서버에서도 DHCP역할을 추가해주고,

장애 조치 클러스터링 기능을 설치한다.

 

클러스터를 만들기 전에 구성 유효성 검사를 무조건 먼저 해줘야 한다.

 

멤버 서버 2개를 모두 선택해준다.

멤버 서버가 아니면 조회 자체가 안되므로 도메인 가입을 먼저 해주어야 한다.

 

유효성 검사 중에 경고까진 괜찮으나, 오류가 뜨면 무조건 다시 해줘야 한다.

보통 디스크 엑세스 대기 시간 확인에서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유효성 검사를 완료했다면 클러스터 만들기 클릭.

 

멤버 서버 2개를 추가해주고

Cluster의 IP는 1.0.0.10으로 설정한다.

두 번째 멤버 서버를 보면 저절로 생성되어있을 것이다.

 

클러스터가 만들어지면 우클릭하여 [서비스 또는 응용 프로그램 구성] 선택.

DHCP서버를 구성해볼 것이므로 DHCP 서버 선택 후 다음.

 

DHCP Cluster의 IP는 1.0.0.9로 설정한다.

 

저장소 볼륨은 클러스터 디스크2.

 

DHCP 서비스가 온라인 상태가 되었으며, ClusterDHCP > DHCP 관리에서 DHCP를 세팅해준다.

새 범위 생성하여 DHCP 설정.

 

Client >>

W7-1 서버에서 IP를 할당받으면 할당해준 DHCP 서버가 1.0.0.9라고 인식한다.

실제 서비스해주는 서버는 멤버 서버 2개이며,

둘 중 하나가 고장나도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현생이네

현생사는갓생지망생

활동하기